본문 바로가기

python29

[Docker] - 도커(Docker) port 충돌 해결 방법 도커(Docker) 강제 종료로 인한 Port 충돌 해결 방법1️⃣ 현재 사용 중인 포트 확인하기🔍 Docker Compose에서 사용하는 포트 목록아래 명령어로 현재 사용 중인 포트 리스트를 확인합니다. (아래 명령어 중에서 아무거나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sudo netstat -tulnp | grep LISTENsudo lsof -i -P -n | grep LISTEN출력 예시docker-pr 12345 root 4u IPv4 5473531 0t0 TCP *:1234 (LISTEN)docker-pr 15468 root 4u IPv6 5473536 0t0 TCP *:1234 (LISTEN)위 예시처럼 1234 포트가 점유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정 포.. 2025. 3. 12.
[Python] - 크롤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IP 차단 문제 사전 해결 크롤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IP 차단 문제 사전 해결1. 웹 크롤링 중 차단 발생 원인웹 크롤링을 하다보면 해당 플랫폼에 너무 많은 요청 등의 이유로 IP를 차단 당하게 됩니다.이는 크롤링 시 지켜져야 하는 규칙들이 제대로 설정되지 않아서 발생하기도 합니다.대표적으로 User-Agent나 기타 파라미터가 존재하지 않거나 이상하게 설정되어 있는 요청은 웹 사이트가 Bot으로 판단하여 차단하는 경우입니다.따라서 가장 기본적으로 User-Agent를 Bot처럼 안 보이게 설정해주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2. User-Agent 설정User-Agent를 설정하는 방법은 HTTP 요청 헤더에 User-Agent 값을 넣어주는 것입니다. User-Agent 값은 웹 브라우저 혹은 HTTP 클라이언트의 종류와 버전을.. 2025. 3. 4.
[Docker] - 도커(Docker) 개념 및 정의, 운영체제별 활용 방법 도커(Docker) 개념 및 정의, 운영체제별 활용 방법도커란Docker는 컨테이너 기반의 가상화 기술로,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경량화된 환경을 제공합니다.컨테이너를 사용하면 종속성을 포함한 애플리케이션을 패키징하여 운영체제(OS)와 관계없이 동일한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도커의 주요 개념으로 이미지(Image), 컨테이너(Container), 볼륨(Volume)이 있으며, 이 개념들을 운영체제별로 살펴보겠습니다.도커 이미지(Image)1. 개념 및 정의이미지(Image)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모든 요소(코드, 라이브러리, 의존성, 환경 설정 등)를 포함한 불편(Immutable)의 패키지입니다.즉, 컨테이너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blueprint) 역할을 합니다.2... 2025. 2. 27.
[Docker] - 도커(Docker) 이미지 컨테이너 볼륨이란? 도커(Docker) - 이미지(Image), 컨테이너(Container), 볼륨(Volume)이란?도커 이미지도커 이미지는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필요한 요소이며, 가상 머신을 생성할 때 사용하는 iso 파일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이미지는 여러 개의 계층으로 된 바이너리 파일로 존재,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실행할 때 일기 전용으로 사용됩니다.도커에서 사용하는 이미지의 이름은 [저장소 이름]/[이미지 이름]:[태그]의 형태로 구성됩니다.저장소 이름: 이미지가 저장된 장소를 의미합니다. 저장소 이름이 명시되지; 않는 이미지는 도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이미지 저장소인 도커 허브의 공식 이미지를 말합니다. (저장소 이름을 명시할 필요는 없으므로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이미지 이름: 해당 이미지가 어떤 역할을.. 2025. 2. 27.
[운영체제 / Linux] - 리눅스(Linux) 명령어 리눅스(Linux) 명령어ls (List)ls: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 및 폴더를 기본 형식으로 보여줍니다.ls -l: 파일 및 폴더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함께 리스트업 합니다.ls -a: 숨겨진 파일을 포함하여 모든 파일을 보여줍니다.cd (Change Directory)cd: 디렉토리를 변경합니다.cd : 현재 디렉토리에서 'Document'라는 이름의 폴더로 이동합니다.cd ..: 현재 디렉토리의 상위 폴더로 이동합니다. 이 부분은 해당 내용이 이 위치에 들어가야 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함입니다. 그래서 명령어 입력 시 는 제외하고 입력해야 합니다.pwd (Print Working Directory)pwd: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표시합니다.mkdir (Make Directory)mk.. 2025.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