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chnology15

[Docker] - 도커(Docker) port 충돌 해결 방법 도커(Docker) 강제 종료로 인한 Port 충돌 해결 방법1️⃣ 현재 사용 중인 포트 확인하기🔍 Docker Compose에서 사용하는 포트 목록아래 명령어로 현재 사용 중인 포트 리스트를 확인합니다. (아래 명령어 중에서 아무거나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sudo netstat -tulnp | grep LISTENsudo lsof -i -P -n | grep LISTEN출력 예시docker-pr 12345 root 4u IPv4 5473531 0t0 TCP *:1234 (LISTEN)docker-pr 15468 root 4u IPv6 5473536 0t0 TCP *:1234 (LISTEN)위 예시처럼 1234 포트가 점유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정 포.. 2025. 3. 12.
[Docker] - 도커(Docker) 개념 및 정의, 운영체제별 활용 방법 도커(Docker) 개념 및 정의, 운영체제별 활용 방법도커란Docker는 컨테이너 기반의 가상화 기술로, 애플리케이션을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경량화된 환경을 제공합니다.컨테이너를 사용하면 종속성을 포함한 애플리케이션을 패키징하여 운영체제(OS)와 관계없이 동일한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도커의 주요 개념으로 이미지(Image), 컨테이너(Container), 볼륨(Volume)이 있으며, 이 개념들을 운영체제별로 살펴보겠습니다.도커 이미지(Image)1. 개념 및 정의이미지(Image)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모든 요소(코드, 라이브러리, 의존성, 환경 설정 등)를 포함한 불편(Immutable)의 패키지입니다.즉, 컨테이너를 생성하기 위한 템플릿(blueprint) 역할을 합니다.2... 2025. 2. 27.
[Docker] - 도커(Docker) 이미지 컨테이너 볼륨이란? 도커(Docker) - 이미지(Image), 컨테이너(Container), 볼륨(Volume)이란?도커 이미지도커 이미지는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 필요한 요소이며, 가상 머신을 생성할 때 사용하는 iso 파일과 비슷한 개념입니다. 이미지는 여러 개의 계층으로 된 바이너리 파일로 존재,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실행할 때 일기 전용으로 사용됩니다.도커에서 사용하는 이미지의 이름은 [저장소 이름]/[이미지 이름]:[태그]의 형태로 구성됩니다.저장소 이름: 이미지가 저장된 장소를 의미합니다. 저장소 이름이 명시되지; 않는 이미지는 도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이미지 저장소인 도커 허브의 공식 이미지를 말합니다. (저장소 이름을 명시할 필요는 없으므로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이미지 이름: 해당 이미지가 어떤 역할을.. 2025. 2. 27.
[Nginx] - Apache - Nginx 비교 및 Nginx 정리 Nginx의 역사와 장단점Nginx 등장 이전최초의 웹 서버 1995년 UNIX 기반으로 만들어진 NCSA Httpd였습니다.하지만 처음은 다 그렇듯이 NCSA Httpd에는 버그가 상당히 많아서 개발자들이 사용할 때 많은 불편함을 겪었다고 합니다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조도 변경하고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 개발된 것이 Apache입니다.1. ApacheApache는 요청이 들어오면 커넥션을 형성하기 위해 프로세스를 생성하는데새로운 요청마다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것은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보니 프로세스를 미리 만들어 놓는 Perfork 방식을 사용했습니다.새로운 요청이 들어오면 미리 만들어 놓은 프로세스를 가져다 쓰는 방식입니다.만약 만들어 놓은 프로세스가 모두 할당 되었다면 추가로 프로세스.. 2024. 12. 12.
[Nginx] - Nginx란 정의, 사용법, 설정, 명령어 알아보기 Nginx 정의 사용법, 설정, SSL, Load Balancing, 명령어, 에러 알아보기Nginx 정의Nginx는 경량 웹 서버입니다.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았을 때 요청에 맞는 정적 파일을 응답해주는  HTTP Web Server로 활용되기도 하고, Reverse Proxy Server로 활용하여 WAS 서버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로드 밸런서로 활용되기도 합니다.Nginx 흐름Nginx는 Event-Driven 구조로 동작하기 때문에 한 개 또는 고정된 프로세스만 생성하여 사용하고, 비동기 방식으로 요청들을 Concurrency(동시성)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위 그림에서 보듯이 Nginx는 새로운 요청이 들어오더라도 새로운 프로세스와 쓰레드를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프로세스와 쓰레드 생성 비용이.. 2024.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