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ct

[React] - DOM이란?

by nam_ji 2023. 9. 14.

돔 (DOM)이란?

DOM (Document Object Model)은 웹 페이지를 이루는 태그들을 자바스크립트가 이용할 수 있도록 브라우저가 트리구조로 만든 객체 모델을 의미한다.

DOM (Document Object Model)을 영어 뜻풀이 그대로 하면 문서 객체 모델을 의미한다.
문서 객체란 html, head, body와 같은 태그들을 javascript가 이용할 수 있는 (메모리에 보관할 수 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DOM은 HTML과 스크립팅 언어(javascript)를 서로 이어주는 역할

DOM의 흐름

가상 돔 (Virtual DOM)이 나오게 된 이유

요즘 흔히 접하는 큰 규모의 웹 애플리케이션(트위터,페이스북)은 스크롤바를 내릴 수록 수많은 데이터가 로딩됩니다.

그리고 각 데이터를 표현하는 요소들이 있습니다.

요소 개수가 몇 백 개, 몇 천 개 단위로 많은 규모가 큰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DOM에 직접 접근하여 변화를 주다 보면 성능 이슈가 조금씩 발생하기 시작합니다.

즉, 느려진다는 말인데요. 이것이 정확한 말은 아닙니다.

DOM자체는 빨라요.  읽고 쓸 때의 성능은 자바스크립트 객체를 처리 할 때의 성능과 비교하여 다르지 않습니다.

 

단, 웹브라우저 단에서 DOM 변화가 일어나면 웹브라우저가 CSS를 다시 연산하고 레이아웃을 구성하고, 페이지를 리 페인트 즉 렌더링이 일어 나는 이 과정에서 시간이 허비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렌더링 과정은 상황에 따라 여러번 반복하여 발생할 수 있고,

돔이 추가,삭제 혹은 태그 위치가 변하는 경우 렌더링이 일어납니다.

* 렌더링 : 브라우저 로딩 과정 중 스타일 이후의 과정 (스타일 -> 레이아웃 -> 페인트 -> 합성)을 렌더링이라고 한다.

 

결론

속도적인 부분과 많은 일을 수행하다 버그가 발생하거나 브라우저가 죽는 일 등등의 일을 개선하고자

가상돔(Virtual DOM)이 나왔습니다.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 조건부 렌더링  (0) 2023.09.22
[React] - Props  (0) 2023.09.21
[React] - JSX 규칙  (0) 2023.09.21
[React] - 컴포넌트 생성  (0) 2023.09.14
[React] - 작업환경 준비 및 프로젝트 생성  (0) 2023.09.14